본문 바로가기
소액 주주의 복주머니 채우기/소소한 동향

가장 많이 사용하는 디파이(Defi) 서비스

by 레스티 2021. 5. 20.
반응형

디파이를 점유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디파이(decentralized finance)란 탈중앙화된 분산된 금융을 의미하며 블록체인(은행 시스템 대체)과 암호화폐(실물 화폐 대체)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통해 기존의 금융서비스를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우리가 은행 등의 금융기관을 통해야만 이용하던 각 종 금융 서비스인 예금, 대출, 투자, 외환, 보험 등을 중앙 관리자인 금융기관 없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 간에 거래 조건이 맞으면 자동 계약이 체결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통해 암호화폐를 이용한 개인 간의 금융거래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디파이에서 활용하는 금융서비스는 그 종류에 따라 블록체인 플랫폼의 구성이 다르며 거래하는 암호화폐는 그 플랫폼 내에서 다른 종류의 화폐(스테이블 코인)로 환산되어 거래된다 . 

 

  • 랜딩(Lending) 서비스

디파이의 여러 산업 내에서 가장 큰 시장 점유율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서의 시장점유율은 디파이 내 예치된 자산의 비중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류한 것이다. 랜딩 서비스는 금융기관의 대출의 형태를 지닌 것으로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빌려주는 대신 일정한 이자율에 따라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다. 메이커 다오, 컴파운드, 에이브 등의 프로토콜이 유명하다.

 

  • 덱스 DEX(Decentralized Exchange)

금융기관의 환전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탈중앙화 거래소로 개인 간 거래를 위한 플랫폼 제공한다. 중앙화 거래소는 우리가 매수한 가상화폐라는 자산을 보관하는 중앙 서버를 둔 업비트, 빗썸 같은 거래소를 말하며 DEX는 이와는 다르게 자산을 보관하는 중앙 서버라는 것이 없고 복잡한 절차 없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개인 간 토큰의 매수와 매도가 즉 토큰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만을 제공한다. 비 상장된 토큰 등을 거래하는 데도 많이 사용되며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인 유니스왑의 시장 점유율이 한때 60% 넘게 차지하기도 했었다. 

 

  •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가상화폐의 변동성은 디파이 내 원활한 서비스 이용을 방해한다. 그것을 해소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 시장가치와 연동시킨 스테이블 코인이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디파이 내 가상자산의 고정된 가치를 측정하는 기축 화폐를 말한다. 그 종류에는 역할 및 디파이 플랫폼에 따라 다르며 USDT, USDC, DAI 등이 있다. 보통 스테이블 코인 하나당 1달러로 측정된다. 디파이 내에서 암호화폐는 현재 코인 시장의 달러 가치만큼 환산된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거래가 진행된다. 이번에 미국 통화감독국(OCC)이 스테이블 코인을 정식 결제수단으로 인정하면서 미국 은행들도 달러와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허용하였다. 

 

  • 스테이킹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예치하면 그에 따른 일정한 이자 수익률이 측정된다. 예치한 암호화폐의 수량과 기간에 비례하여 수익률이 달라진다.

 

 

디앱의 간략 의미

디앱(Dapp)은블록체인 기반으로 돌아가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하여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 내에 상호작용하는 데이터들이 운용된다. 이더리움 기반 디앱이면 상호작용하는 데이터들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기록되고 불러내어지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여기서 블록체인은 운영체제를 의미한다.

반응형

댓글